유튜브 영상을 제작하거나 라이브 방송시에 “내 영상은 왜 소리가 작을까?” 또는 “오디오 레벨을 어디까지 올려서 편집해야 할까?” 등의 고민을 해 본적이 있을겁니다.
유튜브 기준은 -14 LUFS
그동안 몇번 바뀌었지만 유튜브는 현재(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1년)는 -14 LUFS (Loudness Unit Full Scale)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유튜브 오디오 레벨 – LUFS가 무엇인가?”Audio & gear for content creators
오디오 관련글
유튜브 영상을 제작하거나 라이브 방송시에 “내 영상은 왜 소리가 작을까?” 또는 “오디오 레벨을 어디까지 올려서 편집해야 할까?” 등의 고민을 해 본적이 있을겁니다.
그동안 몇번 바뀌었지만 유튜브는 현재(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1년)는 -14 LUFS (Loudness Unit Full Scale)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유튜브 오디오 레벨 – LUFS가 무엇인가?”2019년에 비슷한 글을 올린적이 있지만 이번에는 송출용 pc에 마이크와 헤드셋(스피커)를 연결하는것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참고로 이글은 송출용 pc를 따로 사용할 때 오디오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수많은 방법들 중 하나를 제시하는 것 뿐이지 이것이 가장 좋다는 것이 아닙니다. 본인 환경과 편리에 맞춰 다르게 설정해도 좋습니다.
대략적인 연결은 위 이미지와 같습니다. 게이밍 pc의 HDMI 아웃을 캡처카드에 연결하고 송출용 pc에 연결한 캡처카드와 연결합니다.
더 보기 “투컴 방송과 오디오 설정 – 방법 #2”보이스미터(Voicemeeter)와 VB-Cable 가상 케이블을 사용해서 데스크탑 오디오, 배경 음악, 디스코드, 알림 위젯 오디오를 분리하고 OBS에서 트위치로 방송시에 VOD(다시보기)에 소스별로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참고:
관련글:
보이스미터(Voicemeeter)와 VB-Cable 가상 케이블을 사용해서 데스크탑 오디오, 배경 음악, 디스코드, 알림 위젯 오디오를 분리하고 OBS에서 트위치로 방송시에 VOD(다시보기)에 소스별로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보이스미터(포테이토 또는 바나나)와 VB-Cable을 설치하고,
위 이미지와 같이 윈도우 소리 설정의 기본 출력 장치를 VoiceMeeter input (VB-Audio VoiceMeeter VAIO)으로 선택하고 마스터 볼륨은 100으로 합니다(실제 볼륨 조정은 보이스미터 믹서에서 하면 됩니다).
이제 보이스미터 오른쪽 하드웨어 출력 A1 버튼을 클릭해서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스피커(또는 헤드폰)를 지정하고 가상 입력 패널의 첫번째(위 이미지 첫번째 빨간색 박스)의 A1 버튼을 클릭해서 출력 장치와 연결합니다.
더 보기 “트위치 오디오 분리 송출 – 보이스미터와 VB-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