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비트 Float 레코딩의 장점과 32비트 레코딩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도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현재 나오고 있는 32bit float 레코더들이 32bit float의 다이나믹 레인지(1,528dB)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도 답했습니다.
참고로 16,24,32bit 같은 비트뎁스에 따른 음질 차이는 없습니다 (이유).
- 디더링(dithering)은 무엇이고 언제 필요한가?
- 16비트 보다 24비트 오디오가 해상도가 좋다? 오디오 미신
- dB, dBFS, dBu, dBV 단위와 32bit float, EIN, LUFS
참고
- 영상에서 사용한 마이크와 인터페이스: SM7b, Motu M4
- 영상에서 언급한 32bit float 레코더/인터페이스/마이크 : Zoom F2, F3, UAC-232, Tascam DR-10L Pro, Sound Devices MixPre-3, RODE NT1 5세대 (USB)
- 전체 오디오 레벨은 -16 LUFS로 노멀라이즈 했습니다.
- 유튜브 챕터와 자막을 지원합니다.
32bit Float 레코딩은 어떻게 가능할까?

비트뎁스에 따른 다이나믹 레인지는 16bit = 96dB, 24bit = 144dB, 32bit (float) = 1,528dB 이다.
하지만 이런 이론적인 32bit float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모두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한데 마이크 신호를 증폭시켜야 하는 아날로그 프리앰프와 ADC 자체의 한계 때문이다.

프리앰프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아주 좋아봤자 최대 140dB 정도이고 정말 좋은 ADC의 다이나믹 레인지도 110dB 정도에 불과하다. 결국 32bit float 레코더들도 기존의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수준의 노이즈 플로어와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

32bit float ADC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현재 32bit float 레코더들은 위 그림과 같이 두 개 이상의 ADC를 사용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나누어 처리한 후 그 데이터를 32bit Float이라는 틀 안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16bit, 24bit, 32bit (float) 레코딩 원본 비교
Sound Devices Mixpre-3 II 32bit float 인터페이스로 녹음한 원본입니다(별 의미는 없지만 궁금하신 분들을 위한…)
ejim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