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인터페이스와 보이스미터 (ASIO, DAW)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보이스미터를 사용해서 DAW (또는 VST 호스트)를 사용하거나 DAW 소리를 캡처해서 OBS 스튜디오에서 방송/녹화하는 방법입니다(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루프백을 지원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

ASIO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연도 매우 짧습니다. 영상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2i2 3세대를 예로 사용했습니다.

참고

영상에 사용한 마이크는 슈어 SM7b 다이나믹 마이크와 오디오 테크니카 AT875R 샷건이며 MOTU M4, 스칼렛 2i2, UMC204HD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녹음하고 영상의 오디오는 -15 LUFS로 노멀라이즈 했습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타임라인

  • 00:00 소개, 인트로
  • 00:17 루프백 기능과 보이스미터 그리고 ASIO
  • 01:02 보이스미터 ASIO 설정하기
  • 03:24 패치 인서트 (Patch Insert)
  • 03:53 리퍼 설정 예
  • 05:20 디스코드 마이크 테스트
  • 05:42 OBS 마이크
  • 05:54 DAW 출력 캡처
  • 06:28 에이블턴 라이브 사용 예
  • 09:03 지연 (Latency) 테스트
  • 09:56 맺음말

관련 링크

인라인 마이크 프리앰프 비교 – 펫헤드, 다이너마이트, CT1

다이나믹 마이크 신호를 증폭해 주는 인라인 프리앰프 세 가지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 트라이톤 오디오 펫헤드 (Triton Audio FetHead)
– DM1 다이너마이트 (sE DM1 Dynamite)
– 클락 테크닉 마이크 부스터 CT1 (Klark Teknik Mic Booster CT1)

참고

슈어 SM7b 다이나믹 마이크를 MOTU M4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이며 이펙트나 후보정하지 않았고 영상 편집시에 -15 LUFS로 노멀라이즈했습니다. 마이크, 오디오 인터페이스, 인라인 프리앰프는 본인이 구매한 것으로 제조사/수입사와 영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타임라인

  • 00:00 인트로, 소개, 녹음 조건
  • 00:18 인라인 마이크 프리앰프란?
  • 00:43 사용 방법 (슈어 SM7b)
  • 01:34 콘덴서 마이크용 인라인 프리앰프?
  • 01:45 인라인 프리앰프의 필요성
  • 02:17 인라인 프리앰프 가격과 외형
  • 02:59 분해 (CT1, 펫헤드)
  • 03:31 회로와 부품에 대한 의견
  • 04:17 마이크 신호 증폭 테스트
  • 05:35 자체 노이즈 측정
  • 06:28 주파수 응답 대역
  • 06:45 마이크 음성 비교 테스트
  • 07:43 맺음말
인라인 마이크 프리앰프 비교 – 펫헤드, 다이너마이트, CT1 / 고음질 오디오 24bit/48kHz/320Kbps, m4a

XLR 마이크를 카메라에 연결하기 (FAQ)

XLR 마이크를 카메라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 몇가지와 오디오를 영상과 따로 녹음할 때 싱크 맞추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오디오 테크니카 AT2020, 슈어 SM57, 슈어 SM7b 마이크와 베링거 QX1002USB 믹서,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2i2 3세대 오디오 인터페이스, Zoom H6 필드 레코더를 사용했습니다. 영상의 오디오는 하이패스 필터만 적용했고 -15 LUFS로 노멀라이즈했습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타임라인

  • 00:00 인트로
  • 00:12 소개, 카메라 연결 시 장/단점
  • 01:00 믹서 연결
  • 02:27 오디오 인터페이스 연결
  • 03:45 필드 레코더 연결
  • 04:33 영상과 오디오 싱크 맞추기
  • 05:55 맺음말
XLR 마이크를 카메라에 연결하기 (FAQ) 영상 : 고음질 오디오 24bit/320kHz, m4a

Zoom F1 필드 레코더 리뷰 (feat., Zoom H1n)

Zoom F1 필드 레코더 리뷰입니다. 라발리에(핀) 마이크 녹음용 또는 카메라와 연결하거나 호환 마이크 캡슐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성이 좋은 레코더입니다.

🦴 참고 본인이 구입한 제품으로 제조사/수입사와 관계없습니다. Zoom F1-LP에 포함된 라발리에 마이크로 녹음한 원본으로 이펙트/후보정하지 않았고 -15 LUFS로 노멀라이즈만 했습니다.

타임라인

  • 00:00 소개
  • 00:19 장/단점 요약
  • 00:29 녹음 조건
  • 00:45 외형
  • 01:10 저장 미디어 (마이크로 SD 카드)
  • 01:17 파일 형식과 품질 설정
  • 01:35 녹음 가능 시간 (16G 사용시)
  • 01:46 배터리(AAA 두개)와 사용 시간
  • 02:04 모듈 연결 단자
  • 02:19 버튼과 기능
  • 03:17 플레이 톤 기능
  • 03:29 사전 녹음 (Pre Rec)
  • 03:41 플러인 파워 On/Off
  • 04:16 사운드 마커 (Sound Marker) 기능
  • 04:35 USB 연결과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
  • 05:18 프리앰프 잡음 비교(줌 H1n)
  • 06:02 Zoom H1n과 비교
  • 07:09 Tascam DR-10L?
  • 07:26 단점
  • 08:01 시끄러운 환경에서 녹음 샘플

백악관에서 쓰는 마이크? 슈어 SM57 다이나믹 마이크 리뷰 / 비교 (SM7b, SM58)

슈어 SM57 다이나믹 마이크 리뷰와 비교 (SM58, SM7b)입니다. SM57은 1965년부터 백악관에서 미 대통령들의 스피치에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유명하고 마돈나, 데이비드 보위, 존 레논, 비요크 같은 가수들이 레코딩 때에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슈어 A2WS 윈드 스크린을 같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본인이 구입한 마이크입니다(협찬X/광고X). 모투 M4에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이며 -15 LUFS로 노멀라이즈만 했습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스펙

  • 연결 방식: XLR
  • 폴라 패턴: 지향성 (Cardioid)
  • 주파수 응답 대역: 40Hz ~ 15kHz
  • 감도: 1.6mV/Pa (-56dBV)
  • 임피던스: 310Ω
  • 무게: 284g

타임라인

  • 00:00​ 인트로
  • 00:21​ 소개, 녹음 조건 (SM58 비교)
  • 01:23​ 박스 내용물
  • 01:33​ 만듦새
  • 01:42​ 가품 주의 사항
  • 01:58​ 마이크 스펙
  • 02:18​ 키보드 소음 테스트
  • 02:35​ 지향성(폴라 패턴) 테스트
  • 02:55​ 파열음 (plosive) 테스트
  • 03:07​ A2WS 윈드 스크린 장착과 테스트
  • 03:59​ 거리에 따른 음색 변화
  • 04:23​ 핸들링 노이즈
  • 04:37​ 파열음과 간섭 잡음
  • 05:53​ SM57의 역사
  • 06:35​ 백악관 공식 마이크?
  • 07:07​ SM57을 사용한 유명 가수들
  • 07:23​ SM7b 비교 시작
  • 07:27​ SM57와 SM58의 차이점
  • 08:03​ SM57은 악기 녹음용 마이크?
  • 08:21​ 주파수 응답 대역 (SM57/58)
  • 08:36​ 총평
  • 09:00​ Ending
슈어 SM57 다이나믹 마이크 리뷰 / 비교 (SM7b, SM58) 고음질 오디오 24bit/320kHz, m4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