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샷건, 라발리에(핀) 마이크, 외장 레코더, 어떤 마이크를 써야 할까요? 종결자, 시장 파괴자, 이거 사세요, 킹 왕짱?!?! 제발 이런 말 듣지 말고 상황에 맞는 마이크를 쓰세요.
영상에 사용한 마이크와 장비
- 슈어 SM7b 다이나믹 마이크
- RODE VideoMic 샷건 마이크
- 라발리에(핀) 마이크 / 줌 H1n 레코더
- 매직암 + 클램프
whatever
홈 레코딩 정보와 장비
스튜디오, 샷건, 라발리에(핀) 마이크, 외장 레코더, 어떤 마이크를 써야 할까요? 종결자, 시장 파괴자, 이거 사세요, 킹 왕짱?!?! 제발 이런 말 듣지 말고 상황에 맞는 마이크를 쓰세요.
로데 NT1-A 콘덴서 마이크 리뷰와 비교(르윗 LCT 240 Pro, 오디오테크니카 AT2020)입니다. 스틸 팝 필터와 마이크 스탠드(저가, COX CBA02, RODE PSA1)에 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챕터 참고).
참고) 영상에서 모든 마이크는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2i2 3세대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이펙트/후보정X)입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슈어 MV7 USB/XLR 마이크 리뷰와 비교 (SM7b, SM58, ATR2100)입니다.
참고) 오디오는 오디언트 EVO 4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USB로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이펙트/후보정X)입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다이나믹과 콘덴서 마이크의 주변 잡음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테스트에는 슈어 SM58, SM7b 다이나믹 마이크와 오디오테크니카 AT2020, 로데 NT1-A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했습니다.
참고) 오디오는 MOTU M4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입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
오디오 테크니카 AT2020 콘덴서 마이크 리뷰입니다. 르윗 LCT 240 Pro, RODE NT1-A와 비교도 했습니다.
참고) 본인이 구입한 마이크입니다. 모투 M4에 연결해서 녹음한 원본이며 -15 LUFS로 노멀라이즈만 했습니다. 유튜브 자막과 챕터를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