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시티 (Audacity) 노이즈 제거 / 소리 증폭

오다시티 (Audacity)를 사용해서 녹음된 파일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소리가 깨지지 않게 음량을 크게 하는 방법입니다.

오다시티 소리 편집기는 오픈소스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며 윈도우, 맥, 리눅스를 지원합니다.

무료이지만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어도비 오디션과 함께 소리 편집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VST 플러그인도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VST 플러그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영상의 오디오는 -14 LUFS로 노멀라이즈 했습니다. 목소리는 슈어 SM58을 MOTU m4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녹음, 노이즈 제거 테스트용 파일은 LifeChat LX-3000 헤드셋 마이크로 녹음했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클라우드리프터, 팻헤드, 다이너마이트 같은 인라인 마이크 프리앰프가 정말 필요할까?

클라우드리프터(Cloudlifter), 팻헤드(FetHead), 다이너마이트(DM1 Dynamite) 같은 인라인 마이크 프리 앰프에 대해서 들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보통 마이크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프리앰프 사이에 사용하기 때문에 인라인 프리앰프(프리 프리 앰프라고 하는게 더 맞을듯)라고 부르는데 마이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전원으로는 팬텀 파워를 사용하고 물론 마이크로는 전원을 보내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출력이 낮은 다이내믹(Dynamic) 마이크에 사용하는 물건이며 출력이 충분한 콘덴서 마이크에는 사용 할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콘덴서 마이크 전용으로 나오는 제품도 있긴 있습니다).

더 보기 “클라우드리프터, 팻헤드, 다이너마이트 같은 인라인 마이크 프리앰프가 정말 필요할까?”

베링거 XM8500 다이나믹 마이크 리뷰

국내에서 2만원대에 구입 할 수 있는 베링거 울트라보이스 XM8500 다이나믹 마이크입니다.

영상에서 목소리는 모두 XM8500으로 녹음하였으며 동일 회사의 UMC204HD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연결하고 게인 노브는 약 1시 방향까지 올렸습니다. REAPER를 사용해서 ASIO 드라이버로 직접 녹음하였고 노이즈 감소, 노이즈 게이트 또는 EQ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마이크 레벨은 약 -15 LUFS로 노멀라이즈 (Normalize) 했습니다.

오디오테크니카 ATR2100과 비교 테스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비교 테스트시에 ATR2100도 XLR로 동일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함).

더 보기 “베링거 XM8500 다이나믹 마이크 리뷰”

마이크 지향성과 폴라 패턴 (Microphone Directionality and Polar Pattern)

마이크의 지향성(directionality)은 마이크의 각도, 방향에 따라 감도가 가장 좋은 범위(패턴)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 한쪽 방향이 크게 입력되면 지향성이고 전 방향 모두 동일하게 녹음된다면 무지향성 마이크입니다.

마이크 지향성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단일 지향성 (cardioid)
  • 무지향성/전방향성 (omnidirectional)
  • 초지향성 (super cardioid)
  • 양지향성 (bidirectional)
  • 샷건 / 로바 (shotgun / lobar)
양지향성 (Bidirectional/Figure-8) 폴라 패턴
더 보기 “마이크 지향성과 폴라 패턴 (Microphone Directionality and Polar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