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 전환시에 소스를 움직이거나 줌인/아웃 효과로 다이나믹하고 재미있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플러그인입니다.

참고: 현재 이 플러그인은 윈도우만 지원하며 2018년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거의 동일한 플러그인이며 윈도우, 맥, 리눅스를 지원하는 Move Transition 플러그인을 사용하세요.
장면 전환 효과로 사용

모션 이펙트를 장면 전환 효과로 사용하려면 장면 전환에서 “+”를 누르고 “Motion”을 추가 해 줍니다.

장면 전환 효과로 사용할 때 예를 들어 장면 1에서 장면 2로 전환한다고 가정하면 다음 세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 동일한 소스가 장면 1과 2에 모두 있고 위치/사이즈가 다르면 모션 이펙트 효과가 적용됩니다.
- 소스가 장면 1에만 있는 경우에 장면 2로 전환하면 줌아웃됩니다.
- 소스가 장면 2에만 있을 때는 줌인되면서 표시됩니다.
장면의 필터로 사용하기

장면 전환을 하지 않고 특정 소스에만 모션 이펙트 효과를 사용하려면 장면 필터에 모션 이펙트를 추가해서 사용합니다.
소스(Source)에 효과를 줄 소스를 선택하고 Variation Type, 위치등을 지정 해 주고 단축키를 지정하면 동일한 장면내에서 소스를 움직이거나 줌인/아웃하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장면 효과로 사용시와는 달리 시작 지점을 지정해야 제대로 작동하는데 “Custom starting setting”을 체크하고 시작 위치(x/y값)을 입력합니다. 소스창의 현재 위치는 소스를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변환 – 변환 편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스를 원하는 위치로 드래깅 한 후에 “Populate destination….’ 버튼을 누르면 현재 소스창의 위치가 자동으로 Destination X/Y에 입력됩니다.
Trigger Behavior를 Hotkey(Round trip)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OBS 단축키에서 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Scene switch”로 선택하면 장면이 전환될 때만 효과가 보여지게 됩니다.
BM-800 콘덴서 마이크 + 책상용 마이크 스탠드 나눔합니다. 12월 24일까지 유튜브 비디오 좋아요, 채널 구독 해 주시고 마이크가 필요한 이유를 유튜브 댓글로 남겨주시면 한분 추첨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즐거운 연말연시 되시기 바랍니다 (나눔 종료).
ejim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OBS 모션 이펙트 플러그인”에 대한 한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