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영상을 제작하거나 라이브 방송시에 “내 영상은 왜 소리가 작을까?” 또는 “오디오 레벨을 어디까지 올려서 편집해야 할까?” 등의 고민을 해 본적이 있을겁니다.
유튜브 기준은 -14 LUFS
그동안 몇번 바뀌었지만 유튜브는 현재(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1년)는 -14 LUFS (Loudness Unit Full Scale)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즉, 업로드한 영상의 오디오 레벨이 -14 LUFS 보다 큰 경우에는 자동으로 줄어듭니다.
하지만 오디오 레벨이 작은 영상의 경우에 자동으로 소리가 커지는 것은 아니라서 비디오/오디오 에디팅시에 생각하는 노멀라이즈와는 다르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유튜브가 오디오 레벨을 판단할 때 정확히 어떤 알고리즘(어떤 주파수 대역을 weighting 하는지)을 사용하는지 공개한 것은 없지만 2019년 이후로는 LUFS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업로드된 영상의 오디오 상태는 유튜브 영상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나오는 “전문 통계”를 보면 확인할 수 있는데 “Volume”은 시청자가 플레이어에 설정한 볼륨 레벨이고 Normalized는 유튜브 노멀라이즈 상태입니다.
위 첫번째 비디오 통계를 보면 원본의 레벨이 기준보다 커서 84%로 노멀라이즈되어 원본보다 16%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영상의 두가지 예(위 이미지)를 보면 모두 노멀라이즈가 적용되지 않았는데 첫번째 것은 -11.5dB로 레벨이 작고 아래것은 -14 LUFS로 마스터링 한 것으로 0dB에 가깝고 동일 볼륨으로 시청하면 첫번째 영상보다는 당연히 소리가 크게 재생됩니다.
참고) 유튜브 라이브시에는 노멀라이징 되지 않으며 방송 종료 후 저장되는 비디오에는 적용됩니다.
기준의 필요성
어차피 유튜브가 자동으로 노멀라이즈 한다면 “무조건 오디오 레벨을 크게 해서 업로드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문제는 유튜브가 업로드된 영상의 오디오를 노멀라이즈하면서 다이나믹 레인지가 줄어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마스터링 단계에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여서 무작정 크게 하는 것(Loudness war)도 음질에 나쁜 영향만 줄 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동일 채널의 영상을 여러개 시청하는 시청자 입장에서 영상마다 계속 소리가 커지거나 작아지면 분명히 불편을 느낄 것입니다.
결국 영상을 제작 할 때 (또는 방송시) 오디오 레벨의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LUFS? RMS? Peak?
LUFS(Loudness Unit Full Scale)는 유럽 방송 연맹의 EBU R 128 표준에서 제시된 것으로 전체 오디오 레벨의 크기라는 점에서 RMS(Root Mean Square)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RMS가 오디오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가감없이 측정한 평균 레벨이라고 한다면,
LUFS는 오디오 신호의 전기적인 세기외에도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가청 주파수 대역, 소리가 작거나 없는 구간등을 모두 고려해서 계산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즉, 유튜브에서는 영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예를 들어 동일한 LUFS로 마스터링 한 EDM 음악과 조용한 재즈 음악을 동일한 오디오 시스템 볼륨으로 연속적으로 들었을 때 레벨 차이를 느끼지 않아야 합니다(물론 음악의 시끄럽고 조용하다는 느낌과는 의미가 다릅니다).
이론은 이제 그만
최근 영상 편집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EBU R 128 LUFS를 분석하거나 값을 입력하고 노멀라이즈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데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보면서 레벨을 직접 조절하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VST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UFS를 확인할 수 있는 VST 플러그 인으로 추천하는 것은 MLoudnessAnalyzer또는 Youlean Loudness Meter 입니다(무료).
오디오를 플레이하면 위와 같이 Short-term(3초), Momentary(400ms), Integrated(현재까지 전체 평균)등이 표시되는데 평균값인 “Integrated”를 보면서 조절하면되고 레벨 조절 후에는 플러그 인의 리셋 버튼을 눌러서 다시 측정해야 정확한 값이 측정됩니다.
물론 이때 클리핑되지 않도록 Peak 레벨도 확인하면서 조절해야 합니다.
이러한 플러그인은 인터넷 라이브 방송시에 송출하고 있는 오디오 레벨이 적당한지 확인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BS로 송출하면서 마이크 레벨을 -16 LUFS 정도로 하려면 마이크 장치의 오디오 필터 가장 마지막에 VST 플러그인으로 추가하고 방송시와 같은 소리 크기로 말하면서 Integrated LUFS값이 -16 LUFS 정도가 되도록 레벨을 조절하면 됩니다.
다른 스트리밍 플랫폼도 노멀라이징 되는가?
거의 대부분의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업로드되는 오디오에 노멀라이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Spotify -13 ~ 15 LUFS
- Apple Music -16 LUFS
- Amazon Music -9 ~ 13 LUFS
- SoundCloud -8 ~ -13 LUFS
트위치는 테스트 해 본 결과, 방송시와 방송 후에 저장되는 VOD 클립, 업로드하는 영상에 노멀라이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현재 2021년 1월 기준).
View Comments (1)
보통 영상으로만 정보를 배울려면 더 힘든 구석도 있는대 이렇게 영상과 글을 모두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