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OBS에서 웹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OBS 닌자(링크)입니다.
스마트폰으로 OBS Ninja 웹에 접속하고 OBS에서 브라우저 소스로 추가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OBS에 추가한 스마트폰 카메라 화면은 OBS 가상 카메라 기능으로 줌(Zoom)이나 스카이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홈 레코딩, 인터넷 방송 정보 + 잡동사니
스마트폰을 OBS에서 웹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OBS 닌자(링크)입니다.
스마트폰으로 OBS Ninja 웹에 접속하고 OBS에서 브라우저 소스로 추가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OBS에 추가한 스마트폰 카메라 화면은 OBS 가상 카메라 기능으로 줌(Zoom)이나 스카이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프로4가 출시된지 글을 쓰는 시점을 기준으로 벌써 6년전이고 현재 고프로 9가 나왔으니까 상당히 구형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구형 고프로도 HDMI를 통한 Clean HDMI (메뉴가 화면에 나오지 않는)를 지원하기 때문에 HDMI 캡처 카드만 있다면 쉽게 웹캠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고프로 모델에 따른 지원 여부는 마이크로 HDMI 단자가 있는지 확인 해 보시면 됩니다).
고프로의 감도나 다이나믹 레인지가 어지간한 USB 웹캠 (로지텍 c920같은) 보다 좋아서 화질도 더 좋습니다.
더 보기 “구형 고프로를 웹캠으로 사용하기”얼마전에 포스팅 했던 76가지 웹캠 필터(LUT) 파일들이 LOG나 플랫하게 촬영한 영상용 LUT 파일들이라 웹캠에 사용하기 힘든것들이 많아서 그중에 괜찮은 것들을 추려내고 조금 더 보기 좋게 수정해서 30개의 필터를 다시 만들었습니다.
사용법은 다운로드한 LUT 파일의 압축을 풀고 OBS에서 웹캠 소스에 “LUT 적용” 필터를 추가한 후 경로에서 다운로드한 LUT 파일을 불러들여 사용하면 됩니다.
윈도우의 경우 LUT 파일들을 “Program Files\obs-studio\data\obs-plugins\obs-filters\LUTs” 폴더안에 복사 해 놓으면 좀 더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영상 촬영이 업이라 다양한 카메라를 가지고 있고 일 할때는 거의 소니, 파나소닉 바디를 사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캐논 dslr과 ef, ef-s 마운트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제가 스트리밍시에 주로 쓰고 있는 캐논 70D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캐논 DSLR을 HDMI로 연결해서 스트리밍(또는 녹화)용으로 쓰려고 할 때 가장 문제되는 것은 아래 세가지이며 이것은 매직 랜턴으로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미러리스, dslr로 방송하려고 카메라를 처음 구입하시는 분들은 clean hdmi와 녹화 시간 제한없는 소니, 파나소닉 미러리스를 구입하시는 것이 500% 현명합니다.
더 보기 “캐논 DSLR 스트리밍 (+매직 랜턴)”OBS에서 로지텍 웹캠 설정법입니다. OBS에서 설정하고 값을 저장 해 두면 무거운 로지텍 웹캠 소프트웨어나 G HUB를 안써도 됩니다(어차피 UVC 드라이버 설정값 바꾸는 것인데 UI만 화려하게 해 놓은겁니다).
C920을 포함한 대부분의 웹캠이 윈도우 pc에서 UVC(USB video class) 드라이버로 작동하기 때문에 OBS에서 나오는 설정 화면도 동일하므로 로지텍 웹캠이 아니더라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더 보기 “OBS Studio에서 로지텍 c920(c930e)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