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미터 가상 믹서와 OBS를 사용한 방송/녹화시에 자신의 마이크 소리를 모니터링(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를 듣는것) 할 때의 활용법입니다.
사실 마이크 모니터링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또는 마이크 자체(모니터링을 지원하는 마이크의 경우)의 Direct/Input 모니터링을 사용하는 것이 지연 문제 때문에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보이스미터를 활용하는 한 방법입니다.
또한 보이스미터를 사용할 경우 마이크 소리를 모니터링 하면서 OBS에서 멀티 트랙으로 녹화도 간단하게 가능합니다.
아래는 USB 헤드셋을 사용하고 있을 때의 예입니다.

보이스미터를 설치하고 윈도우 기본 출력 장치를 Voicemeeter Input으로 설정합니다.
모니터링 방법은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듣거나 OBS 필터/믹서의 출력을 모니터링 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당연히 지연은 첫번째 방법이 적습니다).
마이크 입력 모니터링

하드웨어 출력(오른쪽 초록색) A1에 헤드셋을 지정하고 하드웨어 입력(왼쪽 빨간색) 1번에 헤드셋 마이크를 지정한 후에 A1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 입력을 헤드셋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가상 입력(Virtual Inputs 노란색) 첫번째의 A1 버튼도 활성화시켜야 기본 데스크 탑 출력을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소리도 헤드셋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OBS 오디오는 기본 장치(윈도우 기본 출력)와 마이크 장치를 직접 지정해서 추가하면 되고 OBS에서는 모니터링을 켜지 않아도 됩니다.
OBS 마이크 출력 모니터링
OBS 마이크 필터와 믹서를 거친 실제 방송/녹화되는 마이크 소리를 모니터링 하려고 할 때는 보이스미터 하드웨어 입력의 A1 버튼은 해제하고 OBS를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OBS 오디오 설정에서 감시 장치를 “Voicemeeter Aux Input”으로 지정하고

오디오 고급 설정에서 마이크의 오디오 모니터링을 “모니터링과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OBS에서 감시 장치를 “Voicemeeter Aux Input”으로 지정했으므로 가상 입력 두번째 AUX (노란색)로 마이크 소리가 들어오는데 A1 버튼을 눌러서 헤드폰 출력과 연결 해 주면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이런 식으로 설정 할 경우 멀티 트랙으로 녹화하면 총 3개의 트랙으로 모두 분리되어 녹화 됩니다.
ejim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