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방송을 위해서 미러리스나 DSLR 카메라를 선택할 때 꼭 확인 해야 할 것은 “Clean HDMI” 지원 여부입니다.
방송용으로 사용하려면 HDMI 출력 화면에 촬영 정보등이 표시되지 않고 (메뉴에서 On/Off 가능), HDMI 출력 해상도/프레임 변경이 가능해야 합니다.
whatever
인터넷 방송을 위해서 미러리스나 DSLR 카메라를 선택할 때 꼭 확인 해야 할 것은 “Clean HDMI” 지원 여부입니다.
방송용으로 사용하려면 HDMI 출력 화면에 촬영 정보등이 표시되지 않고 (메뉴에서 On/Off 가능), HDMI 출력 해상도/프레임 변경이 가능해야 합니다.
전에 글로 포스트 했던 LUFS에 대해서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사람말(?)로 설명했습니다.
오디오 레벨의 단위인 LUFS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상을 제작할 때 유튜브 기준에 맞게 오디오를 노멀라이즈하는 방법과 OBS 스튜디오로 방송시에 LUFS 오디오 레벨을 사용하는 방법까지 설명하였습니다.
영상에서 NLE는 다빈치 리졸브를 사용하고 LUFS 노멀라이즈는 오디션을 사용했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리퍼(Reaper)나 오다시티 같은 DAW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물고기들도 말을 할까요? 수중 생물들은 어떤 소리를 낼까요?
수중에서 소리 녹음에 관한 이야기도 해 보았습니다.
OBS 스튜디오 관련 자주하는 질문/답변 몇가지를 모아 보았습니다.
마이크 프리앰프(오디오 인터페이스 또는 믹서의)와 관련된 글과 비디오에 EIN(Equivalent Input Noise)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수치인 신호 대 잡음비와 다이나믹 레인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급한분들을 위해 : 동일 조건에서 신호 대 잡음비는 수치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노이즈 성능 측정시에 가장 중요한 수치라고 할 수 있는 신호 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는 보통 프리앰프의 동일 게인에서 신호의 최대 레벨과 노이즈 레벨 두가지를 측정해서 계산합니다.
SNR(dB) = 20 * log 10 (신호 레벨 / 노이즈 레벨)
SNR 계산시에 신호 레벨과 노이즈 레벨은 물론 동일한 단위를 사용해야 하고 주로 dB RMS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