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 스튜디오 – 장면과 소스

OBS 스튜디오 – 장면과 소스

OBS 스튜디오 기본 설정이 끝났다면 송출/녹화할 장면과 소스를 추가할 차례입니다.

장면은 여러가지 소스의 묶음이며 만들어 둔 장면을 다른 장면의 소스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목록 박스의 “+” 또는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다음 장면을 추가한 후에 같은 방법으로 소스를 추가해 줍니다. 소스에는 게임 화면,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캡처 장치등 실제 송출/녹화 화면에 표시할 것들을 추가합니다.

소스가 추가되면 위와 같이 소스의 크기에 따라 빨간색의 박스와 함께 표시되는데 마우스 드래깅해서 위치를 바꾸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OBS 스튜디오 – 장면과 소스”

최근에 알리 익스프레스 (AliExpress)에서 구입한 것들

알리 익스프레스(AliExpress)에서 이런저런 물건을 자주 구입하는 편입니다. 물론 국내보다 저렴하기도 하고 국내에 아예 없거나 있어도 쓸때 없이 비싼 경우가 많아서 입니다.

알리는 거의 다 무료 배송이긴 한데 오래걸리니(그래도 최근엔 많이 빨라진 듯 합니다) 사놓고 잊어버릴 때쯤되서 깜짝 선물(?)처럼 도착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최근에 구입한 물건들 몇가지입니다.

CF to SATA Adapter 

CF to SATA 어댑터
CF to SATA 어댑터

CF 카드를 PC의 SATA 포트에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입니다(링크). $3.39

더 보기 “최근에 알리 익스프레스 (AliExpress)에서 구입한 것들”

OBS 스튜디오 – 통계 / 랙(lag) 모니터링 활용

OBS 스튜디오 – 통계

OBS에서 방송 송출이나 녹화를 할 때 발생하는 랙(lag)문제를 해결 할 때 문제점을 찾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OBS의 통계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물론 기록(로그) 파일을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관련된 포럼에 PC 사양만 쓰고 “송출시에 랙이 걸려요”라는 질문이 많은데 이러한 통계 정보나 로그 파일 내용이 없으면 그 누구도 정확한 답변을 해 줄수 없습니다.

더 보기 “OBS 스튜디오 – 통계 / 랙(lag) 모니터링 활용”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FPS)

해상도 비교

인터넷 방송 관련해서 해상도와 프레임 수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표기하는 방법이 중구난방이라 영상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혼란이 올 수 있어서 간단하게 설명 해 봅니다.

해상도에서 가로를 생략하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들어 1080p30은 가로x세로 1920×1080 해상도에 30 프레임(fps = frame per second)를 의미합니다. 가운데 p는 “progressive scanning”에서 온 글자로 “순차 주사 방식”을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거의 프로그레시브를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역시 같은 방법으로 1440p60 로 표시하면 QHD 2560×1440 해상도/60 프레임이라는 의미입니다.

더 보기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FPS)”